반응형
2024년 2회 전기기사 실기문제
문제 : 전력계통의 발전기, 변압기 등의 증설이나 송전선의 신,증설로 인하여 단락,지락 전류가 증가하여 송변전 기기에의 손상이 증대되고, 부근에 있는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예상되므로, 단락용량의 경감대책을 세워야 한다. 이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.
단락용량 경감 대책
- 모선계통 계통분리 운용
- 계통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단락사고 시의 영향을 국한시킵니다.
- 단락전류의 흐름 경로를 제한하여 문제를 최소화.
- 한류리액터의 설치
- 송전선로에 리액터를 설치하여 단락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.
- 리액턴스를 높여 과도전류를 제어.
- 직류 연계(DC Interconnection)
- 계통 간 연계를 직류 방식으로 구성하여 단락사고 영향을 차단.
- 교류 계통의 단락전류가 다른 계통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.
- 캐스캐이드 방식
- 고장 시 단락전류가 단계적으로 감소하도록 설계.
- 전류 제한을 위한 다단계 차단 설비 채택.
- 한류퓨즈에 의한 백업 차단
- 한류퓨즈를 사용하여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.
- 다른 보호 장치와 조합하여 신뢰성을 높임.
- 계통 연계기 사용
- 계통 간 연계를 제어하여 단락전류를 제한.
- 연계기의 설정을 통해 단락전류 흐름을 조정.
- 계통전압 격상
- 전압을 높임으로써 동일한 전력 전송 시 전류를 줄여 단락전류를 제한.
- 전압 상승에 따른 설비 교체 필요.
- 고장전류 제한기 사용
- 고장 발생 시 전류를 신속히 제한하는 장치.
- 초전도 한류기(SFCL)와 같은 신기술 장치 포함.
반응형
'전기기사 실기시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전기기사 실기문제) 중성점 직접 접지방식의 장점과 단점 (0) | 2025.01.22 |
---|---|
(전기기사 실기문제) 피뢰기의 접지 저항값 구하기 (0) | 2025.01.21 |
(전기기사 실기문제) 리클로저와 선로개폐기 (0) | 2025.01.21 |
(전기기사 실기문제)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와 동작시간 구하기 (0) | 2025.01.20 |
(전기기사 실기문제) 램프의 효율 구하기 (0) | 2025.01.20 |